조망수용 능력이란 타인의 입장에서 감정, 인지 등을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.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넘어가며 아동은 조망수용 능력을 습득한다. Piaget의 산 모형 실험에서 아동은 반대편에 앉은 실험자의 관점에서 본 산의 모습을 맞출 수 있다. 유아기의 아동에게는 불리하다.

반면 Piaget의 산 모형 실험을 보완하는 실험에서 유아는 익숙한 상황에서 익숙하지 않은 상황보다 자기중심성을 덜 보이고 산 모형 실험에서의 산 모형은 유아에게 전혀 친숙하지 않기에 자기중심성이 나왔다는 결과가 있다.

유아가 된 이후에도 여전히 산 모형은 익숙치 않을 터인데 왜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게 되었을까. 이것은 아마도 모듈화 능력을 갖추었기 때문으로 보인다. 아동은 여러 특수한 경험을 통해 일반적인 '상대방의 시선'이라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터득하게 된다. 아동이 유아기일 때 친숙한 과제에서는 자기 중심성을 덜 보인 이유는 특수한 그 경험에 있어서의 조망수용능력은 터득하였기 때문이다. 그러나 산 모형이라는 특수한 경우에서는 조망수용 능력이 생기지 않아 바르게 추론하지 못했다. 그러나 아동기로 오면서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일반화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기 때문에 여전히 익숙치 않은 과제인 산 모형도 해결한 것이다.


Posted by 소리끝
,